코로나 후 취약업종 대출 180조↑
“채무탕감, 구조조정과 병행해야”
코로나19 이후 금융업권의 취약업종 대출이 180조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예금보험공사가 발간한 ‘금융리스크리뷰’(2024년 봄)에 실린 ‘코로나19 이후 은행 취약 부문 위험 확대와 시사점’에 따르면 금융업권의 취약업종 대출규모는 2018년 423조원에서 지난해말 603조원으로 42.5%(180조원) 증가했다. 취약업종은 코로나 시기에 피해가 집중된 운송 도소매 숙박음식업 섬유 석유화학 철강 금속가공 전자 기계 자동차 등을 말한다.
시중은행 대출 규모는 2018년 205조원에서 지난해말 288조원으로 40.5%, 지방은행은 같은 기간 41조원에서 51조원으로 24.4% 증가했다.
연체율은 2018년 0.49%에서 2022년 0.31%로 낮아졌지만 지난해 말 0.55%로 상승했다. 코로나 시기에 대출규모가 급격히 늘면서 연체율은 하락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연체율은 코로나 이전 시기 보다 상승했다. 연체 규모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이재명정부가 출범하면서 대선 공약으로 내놓은 ‘코로나19 대출 채무조정·탕감 특단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일률적인 채무탕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채무탕감이 필요한 부분이 있지만 무조건 다 살려주는 방식으로는 안된다”며 “구조조정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살릴 수 있는 곳은 지원해서 살리고, 그렇지 못한 곳은 안타깝지만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방식이 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은행권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