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 ESG경영이 답이다

2025-03-12 13:00:01 게재

2027년에는 1조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코스피 상장기업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를 의무화한다. 또한 2030년에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에 ESG(환경 Environmental,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 공시를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2026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문득 늘어진 강의 중 커피 타임에서 반추해 보았다 . “상장사들만 수출하는가?” “그러면 예외 없는 수출환경 속에 기술력과 아이디어만으로 무장한 중소기업의 생존에는 어떤 지혜와 용단이 필요할까?”

ESG 규제로 수출 중소기업 경쟁력 약화

최근 심상치 않은 기후위기로 친환경·지속가능 경영만이 기업 생명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수출시대가 되었다. 특히 세계적 기업들이 탄소 중립과 RE100(재생에너지

100%) 주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수출공급망에 있는 중소기업들에도 RE100 준수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주요 세계적 기업들은 협력사들에도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것을 반강제적으로 요구하며, 이에 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무역 거래에서 제외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더 깊이 들어가 보면, EU의 탄소국경세(CBAM) 도입과 미국 일본의 지속 가능 조달 정책 강화로 인해 수출기업들이 RE100을 포함한 ESG 경영을 실천하지 않으면 글로벌 공급망에서 당연히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이에 RE100 대응으로 중소기업들이 모색해야 할 방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확대 추진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전력사용량이 적고 투자 여력도 부족해 독자적인 RE100 달성이 어렵다. 현재 정부는 중소기업의 RE100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사용 인증제도(K-RE100), 녹색 프리미엄 제도, 기업 간 PPA(전력구매계약), 재생에너지 사용을 위한 공동구매 모델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렇지만 중소기업들은 전문적인 환경경영의 지원 부재로 이러한 정책들의 개연적 자구책도 찾지 못하고 경쟁력 확보 시기마저 놓쳐 기업경영의 한계를 겪고 있다.

공신력 있는 국제공인 인증제 확보 요구돼

우리 중소기업이 ESG 경영으로 수출 경쟁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글로벌 시장경제에서 RE100을 포함한 ESG 경영은 단순한 환경 규제 대응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신뢰 구축이 그 핵심 요소다. 또한 그 핵심 방략은 LCA(Life

Cycle Assessment;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부터 제조 유통 사용 및 폐기에 이

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환경경영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는 전 과정 평가)에 따른 ESG 경영원리로 보면 그 답은 명약관화하다.

그러나 지금 같은 난세에는 각자의 작은 기술들을 자랑하는 마치 쿤(T.Kuhn)의 전 과학 단계와 같다. 따라서 지적질만 해대는 너도나도 인증제도가 아니라 공신력 있는 국제공인 인증제의 확보가 우선 요구된다. 또한 윤리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지 않는 지속가능성은 존재할 수 없기에 산·학·관의 협업은 더욱 필연적이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은 말 그대로 끼리 끼리 뭉치면 해결방안이 명료하다. 그러므로 솔루션을 구성할 수 있는 전문 환경경영 지원체제를 두드리고 정부 지원 정책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중소기업도 RE100과 ESG 경영을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김창만

영남대 교수 한국환경과학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