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성공의 길
바이오헬스의 인공지능(AI) 창업기업에게 ‘임상 빅데이터’의 학습은 필수다. 10년 전만 해도 임상 데이터에 대한 AI 학습은 새로운 분야로서 미개척 상태였다. 2016~2021년 필자는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적인 창업기업 지원사업을 맡고 있었는데 AI는 불모지와 같았다.
필자는 AI창업기업들의 임상 데이터 학습을 위해 많은 병원 문을 수 없이 열고 다녔다. 이를 통해 생명공학(BT)과 정보통신(IT) 전문가들 사이의 협업이 자리잡아 나갔다. 양질의 임상 빅데이터들이 하나 둘 모여 쌓이기 시작했다. 이를 기반으로 막 창업한 AI 기업들이 과제 발표를 할 때면 공통적으로 하는 말도 생겼다.
“저희 기업의 AI 제품·서비스 기능은 진단이 아닌 ‘진단을 보조’하는 것입니다.” “본 제품은 의료진의 업무 효율화에 도움을 드릴 수 있고, 환자에게는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병원에서 임상데이터를 학습시켰고, 현재는 A 의료기관과 연구개발(R&D)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10년이 흐른 지금 우리나라는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범정부추진으로 발전시켰다. 지난 2월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 의지를 밝혔고, 지난달 AI 분야에 1조8000억원 규모로 추경예산을 편성 제출했다. 우리나라가 세계 AI경쟁에서 양질의 바이오 빅데이터 확보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목표
앞서 지난해 12월 정부는 국가통합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단을 출범시켰다. 2032년까지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이 사업목표로 제시됐다. 이 사업엔 국내 50여개의 전문기관들과 의료기관들이 참여했다. 각자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모아 협업하며 100만명의 국가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힘을 모으겠다고 다짐했다.
물론 다짐만으론 한계가 있다. 데이터를 확보하고 유지하는데 예산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정보통신법 등 여러 법률 장벽이란 허들도 넘어야 한다. 무엇보다 참여 기관들이 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00만명의 바이오 빅데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내 데이터와 우리 모두의 데이터가 모여야 한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데이터가 모임으로서 우리 국민의 질병극복의 길을 한 걸음 더 앞당길 수 있다.
그렇게 모인 ‘100만의 바이오 빅데이터’는 국민주권의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 ‘임상 데이터’ ‘유전체 데이터’ ‘라이프로그 데이터’ 등으로 구성된 ‘국민 바이오 빅데이터’는 국내 AI 제품과 서비스에 횔용될 필수 데이터들이다. 이 데이터들이 국민 건강을 챙기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AI 최강국을 자처하는 미국은 최근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 행정명령을 통해 어느 나라도 AI에 있어서 절대 자국을 넘어설 수 없도록 국가의 미래 명운을 건 정책을 펼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영국 독일 등 선진국들도 이미 오래전부터 20만~500만명 규모로 자국의 국민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을 해오고 있다.
국민들의 참여의식과 동참 절실
여기에 견주면 우리도 조금 더 일찍 시작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따른다. 하지만 늦은 만큼 앞선 나라들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더 나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자. 국민이 함께하면 모두를 건강하게 구할 수 있다. 우리 국민들의 참여의식과 동참이 절실한 시점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단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