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부딪힌 ‘영남권 신공항’ 출구전략 있나

2025-05-23 13:00:02 게재

이재명 김문수 “적극 지원” … 공약 연속성이 관건

영남은 보수정당에는 ‘약속’의 땅이고, 민주당 계열엔 ‘확장’의 대상이다. 영남권 자치단체가 대선 1순위 공약으로 내놓은 대구경북신공항과 부산가덕도신공항 사업이 민주당정부에서 실질적 속도를 낸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다.

진보-보수정권을 거치면서 속도를 내는 듯 했던 신공항 사업이 벽에 부딪힌 채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있다. 연속성 확보가 관건으로 떠 올랐다.

22일 오후 강원 강릉시 옥천동 길거리에 게시된 대선 후보 벽보가 훼손돼 교체 작업을 하고 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정당한 사유 없이 선거 벽보나 현수막 등을 훼손할 경우 2년 이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연합뉴스

23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등에 따르면 이재명 김문수 후보 모두 영남권 신공항 사업을 적극 지원한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 후보는 가덕도신공항과 동남권 철도 사업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대구경북통합공항(TK신공항) 사업 지연 요인을 해소하겠다고 했다. 김문수 후보도 영남권 신공항을 조성해 신성장동력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확실한 지지기반을 다져야 하고, 민주당은 외연확장을 위한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지역 공약에 대한 수용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지난해 1월 국회를 통과한 대구~광주를 연결하는 달빛고속철도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 헌정사상 최다인 국회의원 261명이 발의에 참여한 것이 대표적이다.

실제 가덕도 신공항은 노무현정부 동남권 신공항 구상 이후 문재인정부에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면서 본격화됐고, 윤석열정부는 2035년이던 개항 시점을 2029년 말로 앞당겼다. TK신공항도 이명박·박근혜정부의 내부 논란을 겪다가 문재인정부에서 출구를 찾았다.

관건은 대선을 계기로 이렇게 출발한 대표적 지역현안이 연속성을 갖고 추진되느냐다.

가덕도 신공항 공사를 맡기로 한 건설사가 ‘공기 연장’을 요구하며 사실상 공사를 포기했다. 현 상태에서 정부 계획대로 간다고 해도 공항 개항은 2033년 말로 밀릴 전망이다. 대선 후보들도 신공항 건설에는 적극적이지만 개항 시점에 대해선 입을 다문다. 전 정부가 이행하지 못한 책임을 떠안지 않겠다는 뜻이다.

TK신공항은 사업비용 마련이 미지수다. 정부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에서 사업비 13조원을 조달해 쓰고, K-2 군 공항 후적지를 개발해 사업비를 회수하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가 타 지역과 형평을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는데 새 정부의 입장에 따라 정상추진 여부가 갈린다. 정치적 결단으로 출발한 대선 공약이 정치 때문에 꼬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명환·최세호·곽재우 기자

이명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