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파나마운하 편입에 군투입 가능”
트럼프, 동맹국에 관세폭탄·군사력 사용 협박 … 영토팽창주의 야욕 드러내
트럼프 당선인은 7일 자신의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의 자택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파나마운하와 그린란드의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 또는 경제적 강압을 배제할 것이냐는 질문에 “아니다. 두 사안 중 어떤 것에 대해서도 나는 확언할 수 없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가 미국의 경제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나는 그것(경제·군사적 강압수단 사용 배제)을 약속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특히 그린란드 주민들이 투표를 통해 독립이나 미국 편입을 결정했는데 덴마크가 이를 방해할 경우에는 “매우 높은 수준의 관세를 덴마크에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린란드에 4만5000명이 살고 있는데 덴마크가 법적 권리가 있는지에 대해 모르고 있다”면서 “우리가 국가안보를 위해 그린란드가 필요하므로 덴마크는 이를 포기해야 한다. 이는 자유 세계를 위한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린란드는 광물, 석유, 천연가스 자원이 풍부하지만 경제적 자립성이 취약해 덴마크 정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한다.
이에 대해 덴마크정부는 곧바로 “그린란드는 판매 대상이 아니다”라며 정면반박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이날 현지 TV2 방송에 출연해 “덴마크 정부 관점에서 그린란드는 그린란드인들의 것이라는 점을 아주 명확히 하겠다”며 “그린란드 총리가 이미 말했듯 판매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1기 재임 시절부터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밝혀왔다. 그린란드는 인구 약 5만7000명으로 덴마크령이지만, 2009년 제정된 자치정부법을 통해 외교 국방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 자치권을 이양받았다. 그린란드는 주민투표를 통해 독립할 수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는 완전한 독립을 원하는 목소리도 있다.
트럼프는 이날 파나마에 대해서도 미국에 과도한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며 “그들은 협정의 모든 면을 위반했고 도덕적으로도 어겼다”고 주장했다. 그는 “파나마 운하는 중국이 운영하고 있다. 우리가 중국이 아닌 파나마에 선물로 준 것을 파나마가 남용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운하 보수를 위해 (미국이) 30억 달러(약 4조3천억 원)를 지원해줄 것을 원한다. 그래서 나는 ‘그 돈을 중국에게서 받아가지 그러냐’고 했다”고도 말했다.
트럼프는 캐나다의 미국 편입도 재차 주장했다. 그는 “왜 우리가 한 나라(캐나다)에 연간 2억달러 이상을 지원해야 하나”며 “그들은 미국의 ‘주’가 돼야 한다. 트뤼도(캐나다 총리)가 사임했을 때 내가 한 말이 바로 그것”이라고 했다. 다만 캐나다에 대해서는 군사력이 아닌 “경제적 힘”을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의 영토 확장 의사를 사업가 시절 기업 인수 합병과 비교하며 “미국 영토를 확장하려는 트럼프의 욕망은 자신이 통제하는 모든 것을 가능한 한 크게 만들려는 그의 사고방식과 전적으로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는 나토 동맹국인 그린란드에 대해 군사적 위협을 열어뒀다”며 “나토 규칙에 따르면 회원국에 대한 공격은 회원국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야 한다. 이건 결코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의 제국주의적 행보’라고도 지적했다.
트럼프는 이날 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은 국내총생산(GDP)의 5%를 국방비에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현재의 가이드라인인 2%를 크게 뛰어넘는 요구 수준이다. 그는 “정규 군대를 가진 나라라면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이) 4%는 될 것”이라며 “나토는 5% 수준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