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세운상가, 정비계획 재수립
서울시 정비계획 용역 착수
차기 서울시장 사업 될 수도
서울시가 세운상가 재개발에 속도를 낸다.
시는 다음달부터 세운 6-1구역 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용역 결과는 내년 상반기에 나올 예정이다.
이번 정비계획에는 상가 공원화 계획을 비롯해 인근 구역 개방형 녹지와 연계를 통한 녹지 공간 확대방안, 사계절 즐길 수 있는 녹지 공간 조성 방안 등이 담긴다.

시가 적극적으로 세운상가 재개발에 나선 것은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공공의 역량을 집중해 낙후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신속한 정비사업 추진을 통해 재도약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시 관계자는 “기존의 주민 제안 방식보다 1년 이상 사업 기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또 사업 지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비계획 수립 단계부터 토지 등 소유자, 전문가, 공공이 참여한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행정 절차도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6월 종묘에서 퇴계로 일대 약 43만㎡ 부지에 ‘녹지생태도심’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담은 세운재정비촉진계획을 고시했다. 대규모 녹지와 업무 및 주거용 건물, 문화 상업시설이 어울린 공간으로 다시 꾸미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속도전’을 공언했지만 부침을 거듭한 세운상가 개발이 제 길을 찾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당장 박원순 전 시장 시절 만든 공중 보행로 철거가 문제다. 1100억원을 들여 만든 구조물을 개통 3년만에 또 수백억원을 들여 철거해야 하느냐는 논란이다. 지난 1월 시는 여러 갈등 끝에 철거시기를 조정한다고 밝혔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이번 결정으로 세운상가 개발은 차기 시장 몫이 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여권 유력 주자로 분류되는 오 시장이 대선 출마로 시장직에서 물러나면 세운상가 재개발은 또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시장 교체로 정책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시민들 입장에선 보행로 조성과 철거 모두 세금으로 운영되는 서울시 행정”이라며 “이번 만큼은 서두르지 않고 서울 도심 발전에 도움이 될 중장기적인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