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MBK 불러 사채 발행·유통 ‘사기’의혹 집중 제기

2025-03-18 13:00:27 게재

국회 정무위 긴급현안질의 … “김병주 사재출연 시기·규모 밝혀야” 여당, 국민연금 피해 가능성 제기 … “배임 등 당국과 진상규명”

“추가 출연으로 기업회생절차 중단하는 근본적인 해결방안 필요”

기업회생절차에 들어선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국회에서 맹공을 받았다. 돈을 빌려 인수하고는 알맹이만 빼 먹고 빠져나가는 ‘먹튀’ 논란과 함께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과 채권발행과 유동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기’ 논란이 집중 공략 대상이었다.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 규모와 시기를 묻는 질의도 쏟아질 전망이다. 여야 모두 한목소리로 피해자 구제 방안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다. 연쇄 미지급사태를 불러일으킨 티메프 사태가 재발되지 않아야 한다는 당부도 남겼다.

국회 정무위, 홈플러스·MBK 파트너스 관련 긴급 현안질의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홈플러스·MBK 파트너스 및 삼부토건 관련 긴급 현안질의의 건을 상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국회 정무위 소속 야당 간사인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오늘 쟁점은 2가지인데 먼저 티메프와 같은 피해자 양산 상황을 차단하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MBK 사모펀드의 기업인수 문제”라면서 “입점업체와 전단채 구매자들의 피해가 없어야 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는 신경 쓰지 않고 단기차익만 노리고 먹튀하는 것은 우리나라 전략기업과 주요기업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국회 정무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 대표 등을 상대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현안질의를 가졌다. 이날 나오도록 채택된 증인은 김 부회장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강경모 홈플러스 입점협회 부회장 등 5명이다. 이중 김 회장은 해외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금융감독당국에서 출금조치할 것을 주문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는 과정이 철저하게 점검될 전망이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전단채, ABSTB) 피해자들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것으로 알고 전단채를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고 보고 있다. 또 증권사 등 금융사들도 이미 이러한 상황을 파악하고 전단채를 판매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MBK파트너스-증권사가 손을 잡고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해 피해자가 양산됐을 수 있다는 얘기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면서 전단채를 발행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겠지만 증권사들이 채권을 유통하는 과정에 개입됐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면서 “이렇게 되면 증권사의 사기가 될 소지가 큰데 이 부분을 따져 묻겠다”고 했다.

김 회장의 사재출연 규모와 시기도 주요 쟁점 중 하나다.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김 회장의 사재출연이 “구체적 규모와 일정도 없는 면피성 사재출연”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김현정 민주당 의원은 “MBK 김 회장이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해 사재 출연을 하겠다고 공표했지만 시기나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이 없을 뿐 아니라 경제대금 외에 다른 피해에 대한 언급도 전혀 없다”며 “MBK의 홈플러스 기습회생 신청과 행보들을 보면 진정성이 매우 의심된다”고 했다. 이어 “사재 출연 의지가 있다면 시기와 규모를 밝히고 노조, 입점업체뿐만 아니라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유동화증권 투자자에 대한 피해지원도 함께 약속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남근 민주당 의원은 “김 회장은 임시방편으로 사채를 털어 이번 사태를 무마하려 하나 종사자들은 추가적인 출연을 통해 기업회생절차를 중단하는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원하고 있다”며 “전단채 피해자는 MBK가 신용등급 하락을 알면서도 상품을 판매하고 결국 경영실패로 인한 기업회생 절차를 밟게 된 것이므로 이에 대해 경영진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며 “MBK의 경영계획과 피해자 구제방안을 듣고 서민들의 피해가 더 커지지 않도록 관련자에게 강하게 문책하고 해결방안을 묻겠다”고 했다.

이어 “김 회장은 출장으로 국회 출석을 무마할 것이 아니라 당장 국회로 달려와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경영정상화와 투자 피해자데 대한 사재 출연범위를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과 관련해 국민적 의혹이 커지고 있다”며 “홈플러스와 MBK가 어떤 자구책도 없이 법정관리를 전격 신청했고 5949억원 규모의 각종 채권을 신용등급 하락 인지 상황에서도 발행했는지 여부 등이 주요 논란”이라고 했다. 김 의장은 “홈플러스는 문제된 채권발행이 신용등급 강등전이라 해명하고 창업주 김병주는 소상공인 결제대금 문제 해결을 위해 사재출연을 밝혔지만 국민 70% 가까이는 이 같은 해명 신뢰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재출연 범위도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서 “MBK가 홈플러스에 과도한 인수금융의 상환부담을 떠넘기며 회사경쟁력을 훼손한 점, 김병주 역외탈세 의혹 등으로 배임 탈세 혐의에 대한 본격적 조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져 있다”고 했다.

이어 “국민연금도 손실가능성이 제기되는데 2015년에 국민연금이 홈플러스에 6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으며 만기 이자율을 감안하면 9000억원이상 회수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3131억원만 회수했다”며 “업계에선 홈플러스 재무구조 개선과 단기채무상환에 1조5000억원이 필요할 것이라 전망하며 추가적 인력 효율화 작업이 진행될 경우 2조원 이상 자금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사기성 채권발행, 배임 등 MBK와 홈플러스 의혹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소상공인과 개인 채권자, 국민연금 등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금융당국과 함께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박준규·박소원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