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결제시스템, 입점업체 규모 따라 차별”
김원이 의원, 산자위 질의서 지적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운영 중인 홈플러스의 결제 시스템이 입점업체 규모에 따라 불공정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원이(사진)의원은 10일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홈플러스에 입점한 매장들 중 큰 곳은 자체 결제 시스템을 가지고 결제한 다음 홈플러스에 수수료를 내는 방식인 반면 소형 입점업체들은 홈플러스 단말기로 결제한 다음 임차료, 수수료를 제외한 돈을 지급받는 식으로 돼 있다”면서 “이러한 이중적 결제시스템은 불공정한 계약으로, 명백한 갑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형 입점업체들에 대해서는 홈플러스가 을의 입장이지만, 소형 입점업체들에게서는 갑을관계가 바뀌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홈플러스 입점업체들은 매장에 있는 홈플러스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 단말기로 받은 결제 대금을 홈플러스 본사에 보낸 뒤 임차료, 수수료 등을 제외한 금액을 사후에 정산받고 있다.
김 의원은 “예를 들어 홈플러스 결제 시스템으로 들어온 돈이 100억이라면 그걸 단기로 운영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데 그 돈으로 뭐 하는지에 대해서 입점업체에게 공유해주지 않는다”면서 “그 결제 대금으로 발생한 이자라든가 이런 걸 업주한테 돌려줘야 될 거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전날 열린 산자위 현안 질의에서 김 의원은 “올리브영 같이 큰 매장은 자기들이 우선 결제하고 나서 일정 수수료나 월세를 홈플러스에 지급하는데 영세 소상공인들은 홈플러스 단말기로 먼저 결제를 하고 홈플러스로부터 30일에서 60일 후에 정산을 받게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홈플러스가 망해 버리면 결제를 못 받을 가능성이 있어서 중소 매장 입점업체들이 굉장히 불안해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리브영 같은 큰 매장처럼 자체 단말기 결제 후에 후정산하도록 결제 시스템을 바꿔 달라는 요구가 있다”면서 “지금 홈플러스 사태가 점점 악화일로로 가고 있는데 이 시기에 중기부가 결단을 내려서 개입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관계기관 합동점검회의를 하면서 저희도 개별적으로 소상공인들 접촉을 하고 있다”면서 “미정산 대금이 없도록 챙겨 보겠다”고 답했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