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내전서 이익 챙기는 중국의 이중 전략

2025-04-18 13:00:05 게재

겉으론 평화, 속내는 분열

미얀마 내전은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4년째 지속되며 군부의 통제력은 급격히 약화됐다. 반군은 전국적으로 세를 확대했지만, 정치적으로는 여전히 느슨한 연합 상태다. 탈영과 사기 저하로 군 내부 분열이 심화되고, 국토의 약 75%가 반군의 손에 넘어갔다. 반면 수도 네피도와 최대 도시 양곤 등 중부 핵심 지역은 여전히 군부가 장악하고 있다.

외교전문 매체 포린 어페어스(Foreign Affairs)는 17일자(현지시간) 보도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미얀마에서 2024년 말까지 약 1만명이 공습으로 사망했고, 350만명이 넘는 실향민이 발생했다. 국민의 약 3분의 1은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지난해 9월 태풍과 올 3월 대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피해 막대하지만, 군부는 구조보다 공습을 우선시했다. 이런 비극 속에서 가장 많은 실리를 챙긴 국가는 중국이라는 게 이 매체의 설명이다.

중국은 군부와 소수민족 무장 단체 양쪽과 협력하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중국-미얀마 경제회랑(CMEC)은 중국 윈난성과 짜욱퓨 심해항을 연결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핵심 경로다. 이를 통해 중국은 인도양 진출과 에너지 수송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 한다. 경제적 이해도 뚜렷하다. 미얀마는 중국에 중희토류의 50% 이상, 주석광의 79.9%를 공급하며, 2024년 희토류 산화물 수출량은 5만톤에 달했다. 중국의 연간 생산량을 초과하는 수치로 반도체와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이다. 안보 측면에서도 미얀마는 중요하다. 베이징은 서방 세력이 미얀마에 발판을 마련해 자국 국경 근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한다. 특히 미국과 연계된 민족통일정부(National Unity Government, NUG)에 대해선 일관되게 배제 전략을 펼치고 있다.

2023년 10월 시작된 반군의 ‘1027 작전’은 군부의 약점을 드러냈고, 2024년 8월 북동부 사령부가 함락되자 중국은 군부 지지로 노선을 전환했다. 왕이 외교부장은 직접 미얀마를 방문했고, 군부 수반 민 아웅 흘라잉은 쿤밍을 찾아 중국과의 유대를 재확인했다.동시에 중국은 무장 단체들에 공세 자제를 압박하며, 국경 차단과 인프라 중단 조치를 취했다. 미얀마민족민주동맹군(MNDAA) 지도자를 일시 구금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이후 평화 중재를 시도했지만, 군부와 무장 단체 모두 입장을 굽히지 않아 협상은 실패로 돌아갔다.

중국은 지진 이후 인도적 지원을 내세워 이미지 쇄신을 시도했으나, 동시에 군부에 전투기와 드론을 제공하며 군사적 개입도 확대했다. 최근엔 중국 국영 보안회사를 통해 짜욱퓨와 무세 지역에 무장 주둔을 시작했다. 이는 미얀마 내 첫 중국군의 공식 존재다.

동남아시아평화연구소의 수석 연구원 예묘하인은 “분열된 미얀마는 중국이 통제하기 더 쉬운 구조”라고 지적하며, 중국은 진정한 평화나 민주주의에는 관심이 없다고 분석했다. 미얀마의 혼란과 분열, 그로 인한 중국 의존을 통해 지역 패권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정재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