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부자 몸조심’에 유권자 관심 하락 우려

2025-04-25 13:00:06 게재

의대정원·탈원전·부동산 등 민감 사안 ‘두루뭉술’

“이벤트 이어지는 구여권과 비교” “신뢰리스크 부각도”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압도적 우세를 보이는 이재명 경선 후보의 캠프가 ‘조용한 경선’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최대한 논란이 일 수 있는 각론을 배제한 총론 성격의 공약을 내놓는가 하면, 내부적으로도 ‘리스크 회피’를 최우선 순위로 놓고 캠프 운영을 하는 모습이다.

가장 유력한 주자로 꼽히는 상황에서 같은 당 주자들은 물론 국민의힘 진영으로부터도 공격이 집중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빌미를 주지 말자는 전략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같은 ‘부자 몸조심’ 전략이 이 후보의 본선 경쟁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또다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광주 전일빌딩 둘러보는 이재명 후보 24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245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내부에 전시된 작품을 둘러보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25일 이 후보는 수도권 지역공약과 농업 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대선출마 선언 이후 지역 공약 7번(충청·부울경·대경권·강원·제주·호남·수도권), 분야별 정책 8번(방산·기후환경·의료·문화예술·장애인·주식시장·에너지·농업)을 내놨다.

이 후보가 그간 내놓은 대부분의 정책들은 총론 성격이거나 3년 전 대선에서 내놓은 정책 공약들을 업데이트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최대한 논란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캠프 기조와 일맥상통한다.

특히 두루뭉술한 설명으로 일관한 정책은 의대 정원과 원전 정책이다. 이 후보 측은 내부적으론 의대 정원 증원에 무게를 두면서도 공식 정책 발표 때는 ‘의대 정원 합리화’라고만 밝혔다.

의정갈등 장기화로 가뜩이나 관련 정책에 국민들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스럼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나왔다.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도 이 후보는 탈원전에 대해선 거리를 두면서도 신규 발전소 건립에 대해선 어떤 입장인지 정확하게 답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개혁신당에선 “탈원전인 듯 탈원전 아닌 탈원전 같은 이재명이냐”면서 “이 후보는 원전 산업과 AI 산업을 살릴 듯 말 듯, 모호한 말장난으로 업계를 기만하고 국민을 우롱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5일 발표한 수도권 정책에서도 주택공급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 없이 재개발·재건축 진입장벽 완화 수준의 공약만 내놨다. 3년 전 대선에선 전국 총 311만호 공급 계획을 밝히는 등 파격적인 공급 공약을 내놔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그 외에도 젠더 갈등이 심한 국내 상황을 고려해 성평등 분야 공약은 아예 발표 대상에서 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이같은 논란 피하기 전략은 이 후보가 비교적 명확하게 정책을 제시하는 순간 논란이 거세지기 때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상법 재개정 문제를 세게 얘기했더니 당장 ‘더 독해졌다’면서 반기업적인 후보라는 식으로 비판이 나오지 않냐”면서 “이 후보가 말하는 순간 ‘전쟁’이 일어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논란을 피할 수만은 없다는 점에서 슬슬 본선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치평론가는 “이 후보의 원래 이미지는 ‘이재명은 합니다’였는데 요새 이미지는 ‘이재명은 안 합니다’같다”면서 “조용히 있다가 본선 들어가서 논란이 있을 수 있는 정책을 툭툭 던지기 시작하면 역시나 저럴 줄 알았다는 반응이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의 고질적인 리스크인 ‘신뢰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의 후보 경선 과정이 도토리 키재기라는 비판도 있지만 이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단일화 이벤트가 사실상 예고돼 있다는 점에서 컨벤션 효과가 생길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이 후보측 관계자는 “1등 후보는 리스크 줄이기가 1번”이라면서 신중 행보 지속에 무게를 뒀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김형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