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해킹 대책 미흡 SKT에 집중타

2025-04-28 13:00:35 게재

민주당 “기업 해킹에 소비자가 발품 파나”

국민의힘 “사이버 테러” “당국 대응 부적절”

정치권은 유심 정보 해킹사고 사후대처에 미흡한 SK텔레콤을 집중 타격했다.

27일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2500만명의 고객이 이용 중인 SKT 유심 해킹사고가 발생한 지 일주일 넘게 지났지만 아직도 미흡한 수습 상황으로 고객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며 “유심 무상 교체 대책을 실시한다고 발표했지만 물량 부족으로 유심 교체에 나선 고객들이 허탕을 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기업이 해킹을 당했는데 왜 소비자가 일일이 발품 팔며 대리점을 전전해야 하냐는 분노의 목소리도 크다”며 “더구나 아직까지 해킹 경로와 사유 등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아 국민들의 불안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SKT는 더 이상 고객 불만이 제기되지 않도록 소비자들의 목소리에 최대한 귀 기울여야 한다”며 “정부는 SKT와 함께 신속한 사고 수습과 해킹 원인 분석으로 다시는 이런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SKT 해킹사고가 알려진 뒤 나흘 만에 5만명에서 240만명으로 48배나 치솟은 점을 지적하며 “국민 여러분의 불안이, 또 한 번 데이터 유출과 명의 도용, 2차 피해로 번질까 걱정하는 마음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라고 했다. 이어 “더 심각한 문제는, SKT이 해킹 경로나 피해 규모조차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1차 포렌식 조사에서도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정확한 피해 현황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건 더 이상의 미루기, 책임 회피가 아니다”며 “SKT는 모든 가입자의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하고, 국민 불안을 해소할 강력한 안전대책을 즉시 내놓아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도 SKT의 대응에 강한 불만을 표했다. 국회 과방위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SKT가 해킹 공격을 받은 사실을 법정시한을 넘겨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신고를 접수한 KISA가 이 사건 발생 시간을 고의로 수정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최 의원은 “‘디지털 신분증’ 역할을 하는 유심 정보 유출로 불안해하는 초유의 사건에 대한 당국의 대응으로 신속하고 적절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선 후보는 최근 발생한 SKT 해킹 사고를 ‘사이버 테러’로 규정하고, 국가가 사이버 방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준규·박소원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