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강남구, 강남역 비상대응체제 가동
장마철 앞두고 대통령 긴급 점검회의
예산 충분히 지원하되 사고 시 ‘문책’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2일 장마철을 앞두고 한강홍수통제소를 찾은 자리에서 강남역 일대 침수사고를 언급하자 서울시와 해당 지자체에 비상이 걸렸다
이 대통령은 반복되는 강남역 일대 침수 사고를 지목하며 “구조적으로 피할 수 없는 문제인가 아니면 관리에 최선을 다하면 피할 수 있는 문제인가”를 지적하며 “당장 가동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련 대책 강화 = 지난달 15일부터 풍수해 대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 중인 서울시는 관련 대책 강화에 나섰다. 국지성 돌발강우 대책이 우선이다. 24시간 모니터링 및 기상청과 핫라인 가동을 통해 알림 문자 및 실시간 담당부서 단톡방을 운영하고 자치구에 3시간 전 침수예측 문자를 발송, 순찰을 강화한다.
재난대응 전담인력을 운영한다. 침수 우려지역 4곳(강남역 사당역 등)별로 3~5명으로 구성된 현장기동반을 운영하고 대규모 재난 발생 시 피해 자치구, 서울시 전담부서가 합동으로 현장지원관을 긴급 운영할 방침이다. 빗물받이 관리자 제도도 가동한다. 강우예보시 빗물받이 덮개 제거 및 청소를 담당하며 통반장, 환경미화원 등 2만2000명이 투입된다.
반지하침수 예방을 위해 재해약자 가구를 밀착전담하는 돌봄공무원을 운영하고 주택가 인접 취약지역을 수시로 순찰을 돌며 응급조치 및 산사태 예방에 나선다.
시는 강남역 광화문 도림천 등 상습 침수지역에 대심도 빗물터널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공사가 완공되려면 수년이 걸리는 만큼 그때까지 강남역 침수를 막기 위해 지난해 하수관을 추가했다. 주변보다 지대가 낮아 침수가 반복되는 진흥아파트 앞 네거리에 추가로 관을 매립하고 한강으로 빗물을 흘려 보낸다.

강남구도 비상 대응 체제를 가동한다. 수방대책 상황실은 24시간 근무에 돌입했다. 국지성 폭우 시 대형 침수 발생의 1차 원인으로 꼽히는 빗물받이 청소에 총력을 기울인다. 특별전담반을 확대 구성해 매일 점검에 나선다.
전담반 규모는 지난해 44명에서 92명으로, 점검지역은 9개동에서 22개동으로 늘렸다. 수방장비는 침수예상지역 가까이로 전진 배치했다. 긴급 강우 시 물빼기를 돕는 양수기를 1099대 확보해 빗물펌프장 동주민센터 소방서에 비치했고 수중펌프 엔진발전기 등 특수장비도 구비했다. 지자체 관계자는 “대통령 지시 이전부터 대책을 준비했지만 특별점검 이후로 각종 대책이 더 실효성 있게 작동하도록 점검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빗물받이 매일 청소하기로 = 장마철을 앞두고 지자체들은 비상 점검에 착수할 전망이다. 앞선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대심도 터널에 의존한 부처들의 침수 대비방안을 지적하며 “당장 가동할 수 있는 대책”을 주문했으며 빗물받이 관리를 1순위 과제로 지목했다. 이 대통령은 “신규 증설은 어렵지만 기존 시설 유지 보수는 예산 지원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니 원하는 지자체에 충분히 지원하라”며 “제때 빗물받이 청소가 안되는 등 돈 문제가 아닌 관리 소홀 때문에 침수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강하게 문책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남역 일대는 주변보다 지대가 20m, 이상 낮아 주변 빗물이 한데 모이는 상습침수지역이다. 2002년 진흥아파트 사거리 침수된 도로에서 가로등 누전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빈번한 침수에도 집중호우 대비를 소홀히 해 2010년 교통이 완전 마비될 정도로 침수가 됐다.
2011년 7월에도 폭우가 쏟아져 해당 사거리가 물에 잠겼고 지하철 신분당선 공사가 연기됐다. 2020년 강남역 일대 2호선이 모두 침수되는 대형 사고가 발생한데 이어 2023년엔 침수로 맨홀 뚜껑이 열리면서 남매가 빠져 사망하는 등 피해가 잇달았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