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14
2025
단정하는 건 곤란하다. 해당 분야에 대한 국가 지원은 어떠한지, 인재 발굴 시스템은 어떻게 운영되며 어떤 교육이 이뤄지는지 등 다양한 요소를 살펴봐야 한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나? 전국의 아이들 50만명을 줄 세운 후 1등부터 3038등까지 의대에 보내는 나라가 정상인가? 의사는 학업 역량에
2024학년도 전국 53개 대학에서 실시한 의·치·한·약계열 편입학에서 평균 경쟁률이 73.7대1을 기록했다. 총 222명 모집에 1만6351명이 지원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3일 종로학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일반편입 기준으로 전국 의대 17개 대학에서 54명 선발에 3534명이 지원해 65.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치대는 4개 대학 31명
05.08
전국 40개 의대의 미복귀 학생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이 확정됐다.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의대생들은 대부분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 학생 대부분은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1만명 이상의 의대생이 유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내년 24·25·26학번이 의예과 1학년 수업을 동시에 듣는 ‘트리플링’(tripling
05.07
정부가 예고한 의과대학 유급 학생 명단 제출 시한이 도래하면서 극적인 변화가 일어날지 관심이 집중된다. 하지만 의대생 사이에선 복귀 움직임이 크지 않아 10명 중 7명이 유급처리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교육계에서는 내년 24·25·26학번이 의예과 1학년 수업을 동시에 듣는 ‘트리플링’(tripling)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우려가
05.02
소통하고 국무위원들과 잘 논의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의대교육과 관련해서는 “일단 의대생들은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철저하게 학사 관리하도록 하겠다”면서 “의대 문제를 포함해서 여러 난제를 짧은 기간이지만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한 전 대행이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 발표를 한
2026학년 대입은 의대 정원 변동, 무전공 확대, 자연계열 학생들이 사회탐구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사탐런' 가속화 등 여러 이슈가 있다. 고3 수험생 증가로 경쟁률 상승도 예상된다. 그 밖에도 대학에 따라 전형 요소를 변경하거나 전형을 신설 또는 폐지하는 곳도 있다. 지난해 고려대 상명대 등에 이어 2026학년에는 국민대가 논술전형을 새롭게
04.30
자원 배분을 개선할 수 있다. 장애인의 건강 증진은 국가의 책임이며 장애인을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통계는 이를 실현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박종혁 충북대 의대 교수는 “정부와 관련 기관은 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장애인 조사 항목을 추가해 더욱 공정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7학년도 대입 모집인원은 총 34만5717명으로 전년보다 538명 증가한다. 전체 모집인원 대비 수시모집 비율은 전년도보다 다소 올라 80%를 넘어선다. 단 향후 의대 모집인원이 조정될 수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30일 전국 195개 회원대학이 제출한 ‘2027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취합해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 포함)에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 현황과 학사운영 계획을 제출하라는 공문을 보냄에 따라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되고 있다. 각 대학은 미복귀 의대생을 대상으로 학칙에 따라 유급 예정 통보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수업 참여율은 지난 17일 기준 26%로 파악된 이후 계속 정체 상태다. 교육부는
연구팀은 지적했다. DEHP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 성분으로 식품 용기나 의료 장비, 화장품, 세제, 용제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에 사용된다. 30일 미국 뉴욕대 그로스먼 의대·랑곤헬스(Langone Health) 리어나도 트라산데 교수팀은 의학 저널 랜싯 e바이오메디신(Lancet eBiomedicine)에서 세계 200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