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2
2025
벼슬을 할 수 없게 된 것을 뜻한다. 안 위원장은 “민주개혁세력이라 칭해져 왔던 우리 세력이 우리 대에 이르러 사실상 사분오열, 지리멸렬의 결말을 보게 했으니 우리가 어찌 이 책임을 면할 수 있겠냐”며 대선패배 책임을 스스로에게 물었다. 6.3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승패는 내일이 지나면 알수 있겠지만 보수진영에서는 두 번째 ‘탄핵 대선’을
05.30
나온다. 평일이라는 악재에도 투표자가 늘어난 것은 ‘투표장으로 향할’ 무언가가 작동했다는 진단도 나온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내란심판-권력견제를 각각 들고 나왔고, 유권자들 인식 속에서도 대선 구도가 단순하다”면서 “비상계엄-탄핵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이미 유권자들이 마음의 결정을 끝내고 대선을 기다린 것이 높은
05.29
살리겠다고 했다. 모두 대규모 재정투입이 불가피한 약속들이다. 12·3 비상계엄과 탄핵사태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된 소상공인을 위해선 코로나19 당시 받았던 대출을 탕감하는 방안을 포함한 특단의 대책을 검토한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전기·가스요금 등 에너지비용 지원을 확대하고, 상품권과 간편결제 등 각종 수수료 부담도 완화하는 등 지원 방안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10시 서울 신촌에서 투표했고,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인천 계양구 유세 중에 인근 투표소를 찾아 투표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경기 화성시 동탄9동 사전투표소에서,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오전 7시 30분께 전남 여수의 사전투표소에서 한표를 행사했다. 이번 사전투표가 탄핵에 따른 조기대선이라는 점이 선택에
40.2%로 승리했다. 2위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는 38.7%, 3위 이인제 국민신당 후보는 19.2%를 기록했다. 만약 김 후보가 지더라도 40%를 넘기면 “‘탄핵 대선’임에도 불구하고 선전했다”는 ‘졌잘싸’ 평가가 가능하다. 이준석 후보는 15%를 넘기면 선거비용을 전액 보전 받을 수 있을 뿐더러, 대선 이후 ‘보수 쇄신’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이란
함께 봉선동에서 살고 있는데 이번에는 분위기 다르다”면서 “아마 비상계엄과 탄핵 등을 보면서 사람들 생각이 바뀐 것 같다”고 말했다. 여는 선거처럼 민주당이 크게 앞서지만 투표율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일곡동 주택가에서 만난 김 모(57·여) 씨는 “주변 사람들 가운데 ‘내가 안 찍어도 어차피 될 것인데’라는 사람들이 많다”고 전했다. 지난 27일
서울 민심은 대선 때마다 엎치락 뒤치락이다. 20대 대선에서 25개 자치구 중 14개 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11개 구는 이재명 후보를 선택했다. 계엄과 탄핵으로 치러지는 조기대선인 만큼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이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서울 지역만 한정하면 일부 여론조사에선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소폭 역전한 결과가
05.28
때는 다시 진영투표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안일원 리서치뷰 대표는 “계엄이나 탄핵, 내란 등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미 지나간 일로 정리된 상황이라는 측면에서 유권자들은 ‘그렇다면 앞으로 누가 국가를 경영해야 하지’라는 원점으로 돌아오게 된다”며 “조기대선이라는 특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탄핵이 없었던 다른 대선과 같이 진영투표로 갈라질 수밖에
최소 10%, 2030년까지는 이를 15%로 확대하도록 정보보호 투자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으로 6월 출범하는 새로운 정부가 어떤 입장을 취할지 관심이 모아지는 대목이다. ◆집단분쟁조정, 6월 중순 절차 개시 = 이런 가운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산하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는 이르면 6월
‘준찍명’ 전략은 예상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할 수도 있다. 지난 2017년 탄핵 후 치러진 대선에서도 보수 단일화에 참여하지 않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의 여론조사 공표 금지 직전 발표된 지지율과 실제 선거 득표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유 후보는 마지막 공표 조사에서 6%의 지지율을 보였고 실제 대선에서 6.8%의 득표율을 거둔 바 있다. 유 후보도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