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11
2025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은 전기화재 예방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HL만도와 ‘세이프가드 해치 랩 기반의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만도가 개발한 아크 감지 센서 ‘해치(e-HAECHIE)’는 2025년 CES 혁신상을 수상한 차세대 센서로 전기화재의 전조 증상인 아크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번 협약을 전기화재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전기설비의 안전성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오승완 기자
저축은행들이 1조5000억원 가량의 부실 부동산PF 사업장 여신을 ‘4차 PF정상화펀드’에 매각하는 작업을 조만간 마무리할 예정이다. 1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4차 PF정상화펀드’ 조성 목표를 1조5000억원으로 정했으며 부실PF 사업장 매각 의사를 밝힌 저축은행들을 상대로 사업장 실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매각협상을 벌었다. 최근 상당수 사업장 대출채권 매각에 대한 가격협상이 종료됨에 따라 금융당국이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협상 과정에서 PF 대출채권의 가격을 약 20% 가량 낮춰서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부실 PF사업장 인수를 위해 조성되는 ‘4차 PF정상화펀드’ 규모는 약 1조3000억원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1·2차 사업성평가결과 저축은행의 부실PF(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는 4조5000억원으로 집계됐고 이중 올해 3월말까지 1조9000억원이 정리됐다. 남은 2
올해 1분기 증권사들이 2조4000억원 규모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수수료 수익이 증가했지만 자기매매 손익 감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금융감독원이 11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증권사 60곳의 1분기 순이익은 2조4424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4696억원) 대비 272억원(1.1%) 감소했다. 금감원은 “종투사 등 대형 증권사는 금리 인하 등으로 IB부문·채권·외환관련 손익 등 실적이 개선됐고 중소형 증권사도 해외주식수수료 증가 및 지난해 설정한 충당금의 환입 효과 등으로 실적이 소폭 개선됐다”고 말했다. 증권회사 수수료수익은 3조364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070억원) 대비 1576억원(4.9%) 증가했다. 수탁수수료는 1조6185억원으로 해외주식 등 관련 수수료가 증가했으나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거래대금이 감소하며 전년 동기(1조6210억원) 대비 26억원(0.2%) 감소했다. IB부문 수수료는 94
세계보건기구(WHO) 알츠하이머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해당 질병 환자는 약 5500만명으로 추산된다. 2030년에는 약 7800만명, 2050년에는 1억39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중앙치매센터는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의 약 10%인 90만명이 알츠하이머를 비롯한 치매를 앓고 있다고 추산했다. 과학자들이 직면한 의학적 난제 중에서도 치매의 가장 흔한 형태인 알츠하이머병은 특히 까다로운 문제였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최신호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21년까지 민간 부문에서 알츠하이머 연구에 425억달러가 투입돼 140건 넘는 임상시험이 진행됐지만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약물은 단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이코노미스트지는 “하지만 이제 상황이 바뀌고 있다. 효과가 있는 치료제 2종이 시장에 출시됐으며 최근 발표된 연구논문은 조만간 더 많은 치료제가 등장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년 현재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182건의 임상시
06.10
그동안 한국증시를 갉아먹었던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기업의 소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인한 자기자본 이익률 하락이 꼽힌다. 지난해 말 미국 주식시장 ROE(자기자본 이익률)은 21%로 20년 전보다 5%p 상승한 반면 한국 시장은 8%p 감소한 10%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에 새 정부는 한국증시 활성화를 위해 배당 성향을 확대하고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의무화해 주주들의 실질 수익률율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총주주환원율 꼴찌 =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 주식시장의 지난 4년 평균 총주주환원율 (배당과 자사주 매입의 합을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은 37.87%로 꼴찌 수준이다.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을 제외한 지난 4년 평균 국가별 총주주환원율을 살펴본 결과 미국은 약 85.52%를 환원했다.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평균은 71.17%, 일본은 49.82% 수준이다. 일본을 제외한 신흥 국가들의 총주주환원율도 44.26%에
미국의 고율관세에도 베트남이 지속적으로 외국인투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특히 제조업과 산업용 부동산이 외인들에게 인기다. 베트남정부의 매력적인 인센티브, 개선되는 인프라,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베트남의 전략적 입지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8일 중국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수출은 1366억달러(약 186조원)를 기록했다. 베트남 국내총생산(GDP)의 30%에 육박한다. 트럼프관세가 베트남 제조업을 강타했지만,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8로 전달 45.6에서 상당부분 회복했다. 외국인투자는 베트남 제조업과 부동산 2개 부문에 쏠리고 있다. 베트남 재무부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신규승인 외국인투자액은 138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9.9% 상승했다. 그중 89억달러는 제조업으로, 28억3000만달러는 부동산으로 유입됐다. 부동산 부문 상승폭은 전년 동기 대비 61.9%에 달했다. 올해 1분기 베트남의 산
지난해 정부가 물가·수급 안정과 산업 지원을 위해 1조4000억원 규모의 할당관세를 지원했다. 전년보다 33%나 증가했다. 과일 등 먹거리 물가에 비상이 걸리며 정부지원도 덩달아 늘어난 영향이다. 특히 에너지와 가공식품류에 할당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소비자물가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기획재정부의 ‘2024년도 할당관세 부과 실적 및 효과분석 결과 보고’를 보면 작년 할당관세 지원 추정액은 2023년(1조753억원)보다 3548억원(33.0%) 증가한 1조4301억원으로 집계됐다. ◆물가안정에 일부 효과 = 정부는 총 125개 품목을 대상으로 기본세율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할당관세 제도를 운영했다. 여기에 먹거리 물가가 계속 오르자 과일, 채소, 가공식품 원료 등에 긴급 할당관세가 추가 적용됐다. 품목별로 액화천연가스(LNG)에 5249억원이 투입돼 지원액이 가장 컸다. LNG·원유(나프타·LPG 제조용)·LPG와 같은 에너지 품목 지원
지난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환율·금리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장외파생상품 거래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작년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 증가 영향도 컸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2경6461조원으로 전년(2경4704조원) 대비 1758조원(7.1%) 증가했다. 장외파생상품은 기초자산(금리 환율 주가 원자재 등)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파생금융상품을 거래소가 아닌 금융기관과 고객 또는 금융기관 간에 개별적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 규모가 증가한 것은 ‘통화선도’ 거래가 1021조원(6.0%) 증가한데에 기인한다. 통화선도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정해진 환율로 특정 통화를 사고팔기로 약정하는 계약이다. 금감원은 “통화선도 거래는 대외무역 규모의 증가 및 환율 변동성 확대로 외화 관련 헤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규모가 커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우
지난해 국내 금융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환율과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투자와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한 헤지 수요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1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2경6461조원으로 전년(2경4704조원) 대비 1758조원(7.1%) 증가했다. 파생상품은 기초자산(환율 금리 주가 원자재 등)의 가격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장외파생상품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고 금융기관과 고객 또는 금융기관 간에 개별적으로 계약을 맺어 거래하는 파생상품이다.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거래 규모가 커진 이유는 ‘통화선도’와 ‘이자율스왑’ 거래가 크게 증가한 영향이 크다. 통화선도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정해진 환율로 특정 통화를 사고팔기로 약정하는 계약으로, 환율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대표적인 헤지 수단이다. 지난해 통
한국거래소가 파생상품 야간 거래를 자체 운영으로 전환해 첫 거래를 마쳤다. 앞으로 유럽과 미국에서 발생하는 글로벌 이벤트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어 투자 결정의 신속함과 투자 대응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 확대도 전망된다. 10일 한국거래소는 전일 부산에서 ‘야간 파생상품시장 개장식’을 열고 파생상품 자체 야간거래를 개시했다. 코스피200선물 야간 거래는 6382계약, 6127억7천900만원 어치가 거래됐다. 이날 처음 거래된 코스닥150선물은 95계약, 176억3100만원 어치가 거래됐다. 기존 유럽 파생상품거래소와 연계해 운영되던 파생상품 야간 거래는 지난 5일부로 종료됐다. 9일부터 한국거래소 자체 운영 체계로 시작된 야간 거래는 평일 오후 6시부터 이튿날 오전 6시까지 12시간 이뤄진다. 유럽 증시(16:00~00:30)는 부분 중첩, 미국 증시(22:30~05:00)엔 완전 중첩되는 내부 거래 시스템이 새로이 가세하는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외국인에 대한 배당 확대 등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상품수지 흑자는 미국의 높은 관세 부과 영향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5년 4월 국제수지’(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4월 경상수지는 57억달러 흑자를 보였다. 경상수지 흑자는 24개월 연속 이어졌지만 규모는 3월(91.4억달러)에 비해 34억4000만달러 감소했다. 지난해 4월(14.9억달러)보다는 많다. 올해 4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249.6억달러)는 지난해 같은 기간(179.7억달러)보다 69억9000만달러 늘었다.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89억9000만달러 흑자를 보였다. 전달(84.9억달러)보다 소폭 늘었다. 지난해 4월(52.4억달러)에 비해서는 37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수출(585.7억달러)은 반도체 등 IT품목의 호조가 지속돼 1년 전보다 1.9% 증가했다. 수입(495.8억달러)은 자난해 동기 대비 5.1
신영증권은 10일 증권사 최초로 사망 보험금을 운용하고 다양한 지급 플랜을 설계할 수 있는 보험금청구권신탁’ 상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보험금청구권신탁’은 생명보험 계약의 사망보험금을 신탁 구조로 전환하여, 신탁회사가 이를 보관·관리하고 위탁자가 사전에 지정한 조건에 따라 수익자에게 지급하는 구조다. 이러한 신탁 구조를 활용하면 기존에 보험금이 수익자에게 즉시 일시금으로 지급되던 방식과 달리, 위탁자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 특히 이 신탁 상품을 통해 △수익자에게 정기적인 생활비 지급 △상속세 재원 마련 △결혼, 입학 등 주요 생애 이벤트에 따른 분할 인출 등 다양한 지급 플랜을 설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신영증권은 법률·세무·부동산 등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상속 및 증여 관련 종합 자문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자산관리와 승계 전략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김대일 부사장은 “보험금청구권신탁을 통해 사랑하는 가족을 위한 유연하고 다양한 지급
토스는 얼굴로 결제하는 페이스페이 가맹점을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우선 서울지역 2만개 가맹점에서 시범운영을 한다. 토스 페이스페이는 얼굴 인식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토스앱에서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 얼굴을 최초 1회 등록하면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 중 원하는 수단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사전 가입 이용자 중 일부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결제 가능 대상은 점차 늘려갈 계획이다. 편의점에서 첫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카페 음식점 미용실 학원 헬스장 등 생활 밀착형 가맹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토스는 ‘안심보상제’도 운영한다. 페이스페이 이용 중 부정 거래가 발생할 경우, 피해 금액을 토스가 선제적으로 보상한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DB손해보험은 ‘개물림사고 벌금 보장’에 대하여 6개월의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그동안 반려동물을 위한 펫보험에서 반려인에 대한 민사상 책임을 보장해왔다. 벌금형의 형사처벌로 보장이 확대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손해보험협회 신상품심의위원회는 DB손보가 개발한 개물림사고 시 발생하는 벌금형을 실손 보장하는 새로운 위험담보에 대해 독창성 및 유용성 등을 높게 평가해 6개월의 배타적사용권을 부여했다. 앞으로 6개월간 다른 보험사들은 유사한 특약을 개발하거나 판매할 수 없다. 이 특약은 신규 가입자뿐만 아니라 기존 가입자도 추가 가입이 가능하다. 다만 맹견의 관리 위반으로 개물림사고가 발생할 경우는 보장되지 않는다. 맹견 가입에는 유의가 필요하다. DB손보 관계자는 “반려인의 형사처벌 위험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반려인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특약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오승완 기자
일본 국채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일본 정부의 국채발행 필요성은 커지는 데 일본은행이 매입 규모를 줄이고, 금융권 등 투자자들의 매수세도 약화하고 있어서다. 아베노믹스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규모 금융완화에 의지해 온 국채시장의 왜곡이 바로잡히는 과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0일 “일본 국채시장이 삐걱대고 있다”며 “10년물 국채금리가 2050년 8%까지 갈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의 국채발행을 전담하는 재무성 이재국 고위 관계자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허를 찔렸다”며 “설마 초장기 국채금리가 이정도까지 오를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달 20일 재무성이 실시한 20년물 공개 입찰에서 흥행에 참패하면서 금리가 급등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당시 입찰 경쟁률은 2.5배 안팎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에 따라 이날 최저 입찰 가격도 예상치를 크게 밑돌아 평균가격과 차이가 1987년 이후 가장 큰폭으로 벌어
2023년 일본의 대형 손해보험회사들이 기업을 대상으로 한 보험료 사전조정 등 불공정행위가 상당한 기간 지속된 사실이 일본 금융청에 의해 밝혀졌다. 한국에도 익히 알려진 도쿄해상, 손보재팬, 미스이스미토모해상, 아이오이닛세이도와손보 등 4개사의 불공정행위였다. 이들은 일본 손보시장(수입보험료 기준)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보험연구원 강윤지 연구원은 9일 KIRI리포트 ‘일본 금융청, 손해보험시장 경쟁환경 개선 현황’ 리포트를 통해 2023년 벌어진 일본 손보업계 담합 조사 이후 일본 보험시장 변화에 대해 소개했다. 일본 금융청 조사 결과 4개사는 일본의 최대 민영 철도회사인 도큐그룹 공항 정유사 등과 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담합을 했다. 심지어 일본 경찰청은 물론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한 보험계약에도 담합이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기업이나 지자체는 대형 사고나 지진과 같은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보험에 가입한다. 이런 보험들은 보험료가 비싸더라도 가입을 해야 한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금융투자가 늘면서 국내 금융당국에 해외 금융감독당국의 ‘불공정거래 조사 관련 정보 제공’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1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2020년부터 올해 5월까지 해외금융당국에 제공한 정보 건수는 40건으로 나타났다. 국내 금융당국이 2019년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의 정보공조 및 법집행을 위한 다자간 양해각서(EMMoU)를 체결한 이후부터다. 2020년 8건에서 2023년 12건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8건이 제공됐다. 올해는 5월까지 1건이 제공됐고 6건이 진행 중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국내 투자자의 해외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해외 감독당국의 정보요청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최근 일본 증권거래감시위원회(SESC)는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신주인수 관련 호재성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매매한 한국인 투자자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했다. 정보교환에 그치지 않고 조사 공조도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법 위반 사업자에게 부과한 과징금이 4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과징금이 가장 큰 사건은 쿠팡의 ‘자체브랜드(PB) 부당 우대’ 건이었다. 기업들은 공정위의 행정처분에 4건 중 1건꼴로 불복 소송을 제기했다. 다만 공정위의 소송 승소율은 지난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0일 공정위의 ‘2024년도 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공정위에서 처리한 사건은 총 2496건으로, 전년(2503건)보다 조금 작았다. 이 가운데 과징금 처분이 내려진 사건은 124건, 전체 과징금 액수는 4227억원이었다. 2023년과 비교하면 과징금 사건 수는 5.1%, 과징금 액수는 7.9% 늘었다. 법 위반 유형별로는 불공정거래행위가 2123억원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다음은 부당공동행위(1701억원),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155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처분된 사건 중 ‘과징금 1위’는 쿠팡의 ‘PB 부당 지원’ 사건이었다. 쿠팡은 PB상품과 직매입 상품
중흥건설이 총수 아들 회사에 수조원대 공짜 신용 보증을 서다 적발돼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를 받게 됐다. ‘아빠 찬스’로 몸집을 불린 중흥토건은 그룹 핵심 계열사로 올라섰고, 경영권 승계 작업까지 마무리했다는 혐의다. 10일 공정위에 따르면 중흥건설 그룹의 사익 편취, 부당 지원 혐의에 대해 시정명령과 과징금 180억2100만원을 부과했다. 지원 주체인 중흥건설은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아파트 브랜드 중흥S클래스, 푸르지오 등을 보유한 중흥건설 그룹은 올해 기준 재계 20위의 대기업 집단이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중흥건설은 2015년 7월부터 올 2월까지 중흥토건이 시행·시공하는 12개 건설·개발 사업에 연대보증, 자금보충약정 등 신용보강을 무상으로 제공했다. 중흥토건은 중흥그룹 정창선 회장의 장남인 정원주 부회장이 지분 100%를 소유한 계열사다. 2015년 당시엔 규모가 작아 대출이 어려웠다. 결국 중흥건설이 나서 보증을 서주고 자금 융통을 도왔다. 신용보강은 통상 지